분류 전체보기 684

해파랑길 37코스(강릉권 3) (안인해변~강동초교~정감이숲길~정감이수변공원~굴산사지 당간지주~오독떼기전수관)

해파랑길 37코스 강릉3 (안인해변~강동초교~정감이숲길~정감이수변공원~굴산사지 당간지주~오독떼기전수관) 일시 : 2022. 10. 01 (토요일) 총 거 리 : 15.6KM(예상시간 5시간 30분)= 강릉권 34.7km 누 적 거 리 : 564.7km ​ (안인해변 스템프함 ) : 출발시간 : 2022. 10. 01 : 05시 47분 (오독떼기전수관 스템프함) : 도착시간 : 2022. 10. 01 : 12시 10분( 6시간 23분) ​ 해도 많이 짧아졌읍니다. 동이 틀려면 아직도 한참입니다. 코스를 조금 틀어서 진행하지만 큰차이는 없읍니다. 오독떼기 전수관을 지나쳐서 약 3KM 시간은 1시간 이상 지체가 됩니다. 갔던길을 뒤돌아 갔다, 다시 진행하려니 헐............ 날씨는 가을 답지않게 30..

해파랑길 2022.10.14

해파랑길 36코스(강릉권 2) (정동진 궤방산입구~안인해변)

해파랑길 36코스 강릉2 (정동진 궤방산입구~안인해변) 일시 : 2022. 09. 30 (금요일) 총 거 리 : 9.4KM(예상시간 3시간 30분)= 강릉권 19.1km 누 적 거 리 : 549.1km (정동진 궤방산 입구스템프함 ) : 출발시간 : 2022. 09. 30 : 17시 05분 (안인해변 스템프함) 도착시간 : 2022. 09. 30 : 18시 39분( 1시간 34분) ​ 정동진 둘러보고 궤방산 입구에서 잠시 고민을 합니다. 궤방산으로 들어가면 최소한 3시간 정도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해는 지고.... 궤방산은 3년전 탐방을 하였으므로 이번에는 해안도로로 안인까지 진행. 안인 도착하여 스템프프함을 찾지 못하고 일단 저녘식사부터하고 숙소를 잡아놓고 다시 안인해변 공중화장실 근처를 둘러보니 주차차..

해파랑길 2022.10.14

해파랑길 35코스(강릉권 1)(한국여성수련원 입구~금진해변~금진항~심곡항~정동진역)

해파랑길 35코스 (강릉권 1) (한국여성수련원 입구~금진해변~금진항~심곡항~정동진역) 일시 : 2022. 09. 30 (금요일) 총 거 리 : 9.7KM(예상시간 3시간 30분)= 강릉권 9.7km 누 적 거 리 : 539.7km (한국여성수련원입구 스템프함 ) 출발시간 : 2022. 09. 30 : 14시 00분 (정동진 궤방산 입구스템프함) 도착시간 : 2022. 09. 30 : 17시 03분( 3시간 03분) .한국여성수련원입구 쉼터에서 잠시 간식과 휴식을 취합니다. 금진해변과 금진항 심곡항등 해변도로를 따라 갑니다. 심곡항 입구 편의점에서 냉커피 한잔 하며 잠시 쉬어다가 산길로 접어들어 정동진 도착하여 잠시 둘러보고 궤방산 입구 스템프함에서 구간 정리합니다 [출처] 해파랑길 35코스(강릉권)|작..

해파랑길 2022.10.14

해파랑길 34코스(삼척-동해권)(묵호역~망상해변~여성수련원입구)

해파랑길 34코스 삼척~동해권 7 (묵호역 입구~묵호등대공원~망상해변~ 한국여성수련원 입구) 일시 : 2022. 09. 30 (금요일) 총 거 리 : 13.8KM(예상시간5시간 = 삼척~동해권 95.2km 누 적 거 리 : 530km (묵호 34코스 스템프함 ) 출발시간 : 2022. 09. 30 : 09시 43분 (한국여성수련원입구) 도착시간 : 2022. 09. 30 : 13시 34분( 3시간 51분) 서울역 출발 07시 01분 KTX 이음 열차이용하여 묵호역에 9시 40분 도착합니다. 여름의 피서인파와 숙소난을 피해거의 3개월을 쉬고 다시 이어갑니다. 코스는 전반적으로 무난하고 묵호등대와 도째비골 위락시설도 잠시 들러봅니다. 하지만 더위를 식힐 그늘이 없고 도로를 따라 걷는게 힘든 구간입니다.

해파랑길 2022.10.14

화순 고인돌 유적지

일시 : 2022. 09. 01 운주사 다녀오며 근방에 있는 고인동 유적지 잠시 둘러봅니다. 유적지 입구에 주차하고 한바퀴 둘러볼 요량으로 있는데, 관리사무소 직원이 평일이고 관람객도 거의 없으므로 자동차로 다녀와도 편한거라 하여 한바퀴 휘돌고 나옵니다. 추후 시간이 되면 아이들(손주 손녀) 데리고 한번 와도 좋을 것 같읍니다. 고인돌이란 고인돌이란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을 묻는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큰 돌을 얹은 선사시대 무덤이 대부분이다. 고인돌은 납작한 판석이나 괴석형 덩이돌 밑에 돌을 고여 지상에 드러나 있는 즉 고여 있는 돌이란 뜻인 지석묘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고인돌의 다른 이름 고인돌을 민간에서는 자연석이 땅에 묻혀있는 것에서 독배기, 바우배기 등 독바우로 부르고 있으며, 받침돌이 고..

여행 2022.09.13

화순 천불천탑 운주사

ㅇ일시 : 2022. 09. 01 날씨 맑고 덥고 습함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千佛山 또는 靈龜山)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입니다. 창건설은 3가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1.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했다는 설. 2. 운주(雲住)스님이 주도했다는 설. 3. 마고 할미가 세웠다는 설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통일신라말 도선국사가 풍수지리에 근거한 비보裨補사찰로 세웠다는 이야기가 가장 널리 전해지고 있으며, 이곳 지형이 배(舟)형으로 되어 있어 배의 돛대와 사공을 상징하는 천불과 천탑을 세웠다하고 합니다. 비보裨補사찰이라 함은 ‘돕고 보호한다’는 의미로 강한 곳은 부드럽게하고 허한 곳은 북 돋워줌으로서 자연의 흐름에 역행하지 않으면서도 호국과 중생들의 이익을 ..

여행 2022.09.13

화순 적벽

화순 적벽 : 장항적벽, 물염적벽, 창랑적벽, 보산적벽 중 유일하게 장항(노루목적벽)만 버스투어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화순군에서 운영하며 "이 용대체육관" 과 이서커뮤니티센터 출발 2개 코스가 있으며, 관람 코스는 동일하며 단지 접근하는 거리 관계로 요금도 차이가 납니다. "이 용대 체육관" 요금 10,000, "이서커뮤니티" 5,000원 이므로 접근하기 좋은 쪽에 사전 예약후 투어가 가능 합니다.) 일 시 : 2022. 08. 31(수요일) 운영기간 2022. 6. 29. ~ 11. 27. (매주 수·토·일요일) !투어운영중단안내 추석 연휴 실향민 성묘 기간 : 9월 1주 ~ 9월 2주(3, 4, 7, 10, 11일) 화순적벽 문화제 기간 : 9월 중 2일 설렘화순 적벽투어(이서) 코스안내 설렘화순 ..

여행 2022.09.08

무등산

무등산 서석대 1100m 일시 : 2022. 08. 30 화요일 시간 : 06 시 28~11시 32분(5시간 24분) 코스 : 증심사 주차장(0.7)~증심교(0.6)~의제미술관(0.4)~약사사(0.4)~세인봉 갈림길(0.9)~서인봉(0.4)~중머리재(1 ))~ 중봉(0.6)~군부대 갈림길(0.3)~목교안전쉼터(0.5)~서석대(0.5)~입석대(0.4)~장불재(1.7)~중머리재(1.6)~ 당산나무( 0.1)~증심사입구(0.6)~의제미술관(0.7)~증심교(0.7)~증심사 주차장 (원점회귀) 산행거리 : 12.1km 날씨와 산행후 소감 : 산아래 증심사부근은 약간구름 정도에서 중머리재지나고 중봉부터는 강한바람에 운무속에 비바람 강함. 스틱으로 바닥을 집으면 비켜 나가서 강하게 잡고 한발 한발 진행합니다. 한걸음..

명산 2022.09.07

담양 죽녹원

2022. 08. 29 담양 죽녹원 죽녹원 홈페이지 소개글입니다. 죽녹원은 2003년 5월에 조성하여 약 31만㎡의 공간에 울창한 대나무숲과 가사문학의 산실인 담양의 정자문화 등을 볼 수 있는 시가문화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죽녹원은 전망대, 쉼터, 정자, 다양한 조형물을 비롯 영화·CF촬영지와 다양한 생태문화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가족, 연인, 친구, 수학여행 등 연간 관광객 100만명이 찾는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명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반현황 개원년도 : 2005년 3월 면적 : 310,238m2 구성 : 죽림욕 산책로 8길, 정자 7동, 쉼터 5동, 한옥카페2개소, 한옥체험장 죽녹원 후문

여행 2022.09.06

소쇄원

2022. 08. 03 소쇄원 홈페이지 인용 입니다. 소쇄원은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간 원림이다. 한국 민간원림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어 명승 40호로 지정된 곳으로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경외와 순응, 도가적 삶을 산 조선시대 선비들의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서 경관의 아름다움이 가장 탁월하게 드러난 문화유산의 보배이다. 내원內園의 면적은 1400여 평의 공간에 불과하지만 그 안에 조성된 건축, 조경물은 상징적 체계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절묘하게 이뤄내며, 곳곳에 조선시대 선비들의 심상이 오롯이 묻어나 있는 공간이다. 물론 외원外園까지 포함하면 수 만평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봉대와 광풍각 그리고 제월당이 있으며, 긴 담장이 동쪽에 ..

여행 2022.09.06